상황 설명 쿠버네티스는 논리적으로 노드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. 이는 AWS EKS에서는 인스턴스와 직결되고, 인스턴스 타입에 따라 결제금액의 변동이 생긴다. 따라서 파드에 필요한 자원 정도에 따라 알맞은 노드를 지정하는 옵션이 필요할 수 있다. 노드 “하나”를 지정하는 것은 EKS에서는 인스턴스 1개에만 생성하는 것이므로 노드 스케일링을 적용한 나에게는 적절한 옵션이 아닐 수 있기에, 노드”그룹”을 지정하는 옵션이 필요했다. 나의 목적은 개발용으로 쓰는 경우 적은 자원의 노드로 테스트하고, 배포환경에서는 실제로도 큰 자원의 노드로 테스트하고 싶었다. 따라서 devNode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 t3.medium 크기로 진행하였고, stagingNode는 t3.large로 진행하였다. (apiN..